태평양 전쟁 - Pacific War

그만큼 태평양 전쟁 를 포함한 제2차 세계 대전의 극장이었다. 동아시아, 동남아시아오세아니아, 로부터 분리하다 유럽의 제2차 세계 대전.

서방의 기록은 일반적으로 전쟁이 1941년 12월의 진주만 공격으로 시작되었다고 생각합니다. 중국의 기록은 1937년 7월 일본의 중국 중부 침공이나 만주 1931년. 전쟁은 1945년 8월 일본의 항복으로 끝났다. 중요한 요소는 전쟁에 사용된 최초이자 지금까지 유일한 원자폭탄이 방금 폭파되었다는 것입니다. 히로시마나가사키.

이해하다

또한보십시오: 일제 식민 제국

일본 19세기 후반에 확장되기 시작하여 오키나와 1879년, 그 후 1894-95년 제1차 청일 전쟁에서 중국을 물리치고 합병 대만 그리고 요동반도, 그리고 중국이 봉신 국가에 대한 영향력을 포기하도록 강요 대한민국. 같은 기간에 미국은 태평양 지역에서 더욱 적극적으로 나서 필리핀 제도 1898년 스페인과의 전쟁과 합병 후 하와이. 다양한 유럽 강대국들도 이 지역에서 자신들의 보유지분이나 영향력을 확대했습니다.

일본과의 전쟁에서 승리 러시아 제국 1905년, 수세기 만에 처음으로 비유럽 국가가 유럽 국가를 물리쳤습니다. 일단 러시아인들이 길을 벗어나자, 그들은 1910년에 한국을 완전히 병합했습니다. 일본은 당시 연합국의 일부였습니다. 제1차 세계 대전, 따라서 1918년 전쟁이 끝난 후 패배한 중앙 강대국으로부터 더 많은 영토를 얻게 될 것입니다. 산동, 중국. 일본의 그러한 시도는 나중에 5·4 운동으로 귀결될 것이며, 이에 대해 자세히 설명합니다. 20세기 초 중국 역사에 대한 기사.

30년대 후반 일본 최고 사령부 사이에 파벌 싸움이 있었습니다. 그들은 모두 제국을 확장하는 것이 좋은 생각이라는 데 동의했지만 어떻게? 그들이 "북쪽을 공격"하면 다음으로 확장하십시오. 몽골리아시베리아 그리고 오직 러시아인과 싸우거나 미국과 싸우는 것을 의미하는 "Strike South" 대영 제국, 그리고 다른 식민 세력 - 프랑스, ​​네덜란드, 포르투갈? 소련 침공을 지지한 황도파(皇道派)는 1936년 쿠데타(2.26사변)까지 가했지만 실패했다. 북쪽을 공격하려고 시도했지만 1939년 소련 일본군에게 철저하게 타격을 입혔다. 칼킨골 전투 몽골에서. 이후 일본은 남침에 집중했다.

중국

일본은 에서 상당한 영향력을 획득 만주 그들이 러시아인을 물리쳤을 때; 특히 그들은 수익성 있는 러시아 건설 철도의 관리를 인수했습니다. 그런 다음 1931년에 그들은 묵든 사건; 일본군은 철도의 일부를 폭격했고, 공격은 중국군의 탓으로 돌렸고, 이는 일본이 만주를 점령할 구실을 제공하여 만주국이라는 꼭두각시 국가를 수립했습니다.

일본이 중부 침공 중국 1937년 이후 마르코 폴로 다리 사건실종된 일본군 수색 요청이 중국군에 의해 거부된 후 인근 일본군이 공격한 곳. 일본군은 곧 당시 수도였던 중국 동부의 대부분을 점령했다. 난징.

이 침략은 양측 모두에게 재앙으로 밝혀졌습니다.. 중국은 훨씬 더 나은 무장과 훈련으로 침략자와 싸우고 있었고 동맹국이 보낼 수 있는 모든 무기를 사용했습니다. 제1차 세계 대전 잉여), 극도로 악랄한 압제를 견디고 소련을 제외한 다른 어떤 국가보다 훨씬 많은 천만 명 이상의 군인 및 민간인 사망자를 낸 엄청난 수의 사상자를 냈습니다. 더욱이 그들은 분열되었습니다. 국민당(국민당)의 일부 파벌은 때때로 일본과 싸우는 것보다 공산주의자와 싸우는 데 더 관심이 있었습니다. 전 장군 부대는 전쟁에서의 용맹에도 불구하고 장개석의 파벌에 의해 덜 신뢰되고 더 적은 장비를 받았습니다.

그 모든 것에도 불구하고, 중국군(미국 고문과 함께 국민당이 운영하는)은 일본군에게 눈에 띄게 힘든 시간을 보냈습니다. 일본의 계획가들은 3개월 안에 중국 전체를 점령하고 소규모 병력만 남겨두고 점령하고 대부분의 군대를 다른 곳으로 이동할 수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사실 촬영에만 3개월이 걸렸다. 상하이 그리고 1937년부터 1945년까지 8년간의 전투에서 그들은 결코 중국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지 못했습니다. 중국군은 전쟁 내내 계속 싸웠고, 종종 후퇴했지만 항상 적에게 대가를 치렀습니다. 중국 게릴라와 방해 공작원(민족주의자, 공산주의자, 독립주의자)은 도처에서 일본인을 괴롭혔다. 전체 일본 지상군의 약 절반은 다른 곳에서 사용할 계획이었던 군대를 포함하여 전쟁 기간 동안 중국에 묶여 있었습니다. 태평양 전쟁에서 연합군의 모든 지상 승리는 부분적으로 중국의 집요함 덕분이었습니다.

미국, 영국, 네덜란드는 중국 침략 이후 일본에 제재를 가했다. 특히 석유 수입에 대한 제한은 일본이 그 국가들과 전쟁을 하게 된 주된 이유였습니다. 서방 열강은 또한 중국을 통해 보급품을 보냈습니다. 버마 로드. 소련과 미국은 또한 중국을 지원하기 위해 의용 공군 부대를 보냈습니다. 윈난 '하늘을 나는 호랑이'로 잘 알려져 있다.

일본이 세계대전에 참전하다

그 동안에, 유럽의 제2차 세계 대전 1939년 9월 독일의 폴란드 침공으로 시작되어 1941년 6월 독일이 소련을 침공하면서 더욱 복잡해졌습니다.

분쟁은 1941년 12월에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었습니다. 일본 공격 진주만, 태평양의 다른 미군 기지, 필리핀 제도, 그리고 다음과 같은 영국 소유물 홍콩, 버마말라야. 그만큼 미국 그리고 대영제국 전체는 즉시 일본에 선전포고를 했고 독일은 미국에 선전포고를 했다. 소련은 유럽에서 전쟁이 끝날 때까지 일본에 선전포고를 하지 않았지만 1904-05년 러일 전쟁에서 러시아 제국이 일본에 빼앗긴 영토를 되찾았습니다.

일본 정복

그 후 일본은 일본의 많은 부분을 침략하고 점령하기 시작했습니다. 동남아시아 및 일부 오세아니아; 그들은 심지어 도시를 폭격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다윈호주. 1943년 중반까지 거의 모든 동남아시아가 일본에 의해 정복되었고, 영국, 프랑스, 네덜란드, 포르투갈 그리고 미국은 모두 일본의 손에 굴욕적인 패배를 겪었습니다.

일본군은 전투 없이 일부 지역을 효과적으로 장악했다. 본질적으로 독일 괴뢰 정권인 프랑스의 비시 정부는 프랑스령 인도차이나(현재는 베트남, 라오스캄보디아) 일본과 협력하기 위해 대부분이 그랬습니다. 태국서구 열강의 식민 지배를 받지 않은 동남아시아 유일의 국가인 이 나라는 명목상 독립을 유지했지만 일본 음악에 맞춰 춤을 출 수밖에 없었다. 일본은 이들 국가에 군사 기지를 건설하고 이를 통해 군대와 보급품을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었습니다.

일본의 선전은 그들이 서구 제국주의자들을 몰아내고 "아시아인을 위한 아시아" 운동을 이끌고 있다고 주장했고, 이것은 그들에게 약간의 지지를 얻었다. 다음과 같은 국가 인도 친일운동과 친동맹운동을 동시에 했다. 친일 인도국민군(INA)의 수바스 찬드라 보스(Subhas Chandra Bose)는 여전히 인도에서 민족적 영웅으로 널리 인정받고 있다. 많은 지역에서 이것은 또한 민족적 경계를 따라 나누어졌습니다. 말라야에서는 적어도 처음에는 많은 말레이인과 인도인이 일본인을 환영했지만 대부분의 화교는 반대했습니다. 중국에서는 국민당과 공산당이 모두 일본을 반대했지만 때로는 서로 싸우는 데 더 관심이 있었습니다. 도처에서 지역 정치 운동은 전후 기간 동안 독립 및/또는 국내 정치적 영향력을 얻기 위해 전쟁을 이용하여 통제를 위해 경쟁하고 있었습니다.

점령 지역에 대한 일본의 통치는 잔인했고 전쟁이 끝날 무렵 일본은 처음에 그들을 지지했던 많은 지역 주민들의 지지를 잃었습니다(예: 버마 독립 영웅 Aung San). 점령지에서 일본군은 집단 강간, 학살, 약탈을 자행했으며, 난징 대학살 1937-38 년 중 가장 악명 높았습니다. 중국, 한국 및 기타 점령지에서 온 많은 여성들이 일본군 매춘업소에서 성노예인 "위안부"로 일하도록 강요받았습니다. 일본군은 또한 점령 지역에서 포로가 된 지역 주민에 대해 비인간적인 실험을 수행했는데, 가장 유명한 것은 만주에 있는 731부대(아래 나열)이지만, 다른 유사한 부대가 점령 지역 전체에 존재했습니다. 그들은 또한 포로들을 매우 심하게 대우했습니다. 아마도 가장 유명한 사건은 "바탄 죽음의 행진"과 콰이강의 다리, 그러나 많은 다른 사람들이 있었다.

중국에서 일본의 지배에 저항한 그들의 역할에 대한 보복으로 중국과 동남아시아 모두에서 화교는 가장 가혹한 대우를 받았다. 점령된 모든 지역에서 그들은 일본인들에 의해 "검열"을 위해 잡혔고, (종종 자의적으로) 반일인으로 확인된 불행한 사람들은 먼 곳으로 끌려가 총살을 당했습니다.

조수가 돌다

일본은 1942년 중반에 미국의 손에 두 번의 중요한 해전 패배를 겪었습니다. 미드웨이 6월. 이것은 서로의 시야에 들어온 적이 없는 항공모함이 주로 싸운 역사상 최초의 해전이었습니다. 미군은 일본 통신을 가로채고 있었고, 많은 일본 암호를 깨뜨렸는데, 이는 두 전투 모두에서 유리했습니다. Midway에서 그들은 폭격을 위해 비행기가 떠나 있을 때 항공모함을 파괴함으로써 일본군을 놀라게 했습니다. 이 전투는 일본 제국 해군의 대부분의 정규 항공모함을 파괴했을 뿐만 아니라 많은 엘리트 일본 해군 비행사를 죽였습니다. 이는 일본군에게 재앙이었습니다.

1942년 중반에 시작하여 1943년 초까지 지속된 두 번의 육상 원정 역시 일본에 좋지 않은 결과를 가져왔습니다. 지금 무엇에 파푸아 뉴기니, 주로 오스트레일리아군이 지상에서 첫 패배를 안겼다. 밀네 베이 그런 다음 힘든 전투에서 그들을 다시 코코다 트랙. 그 사이 미국인들은 섬을 점령했다. 과달카날 길고 치열한 전투 끝에 호주와 뉴질랜드로 가는 보급선과 통신선을 방어하고 일본을 향한 섬 호핑을 위한 전진 기지를 만들 수 있었습니다.

이 연합군의 승리는 태평양 전쟁의 전환점이 되었습니다.

그 후 ANZACs(호주와 뉴질랜드 군단)는 뉴기니 전역을 계속하여 침공했다. 솔로몬 제도, 영국이 중국의 도움으로 버마를 탈환하고 버마 로드 중국군을 공급하기 위해 일본군은 중국에 병력을 너무 얇게 퍼뜨렸고, 중국군은 반격하여 점령된 일부 영토를 되찾을 수 있었다. 미국인들은 필리핀을 탈환하고 다음과 같은 섬을 포함하여 태평양 전역의 일련의 섬을 점령했습니다. 웨이크 아일랜드 일본이 전쟁의 첫 달에 그들에게서 빼앗았다는 것.

해상에서 일본은 영연방의 도움으로 미군에게 반복적으로 패배했습니다. 레이테 만 해전은 전쟁 중 가장 큰 해전이었습니다. 그것은 필리핀 침공 중에 일어났고 연합군의 주요 승리였습니다. 그들이 가져갔을 때 마리아나 제도, "Great Marianas Turkey Shoot"에서는 550대 이상의 일본 항공기가 파괴된 반면 미국은 약 120대의 항공기만 잃었습니다.

전쟁의 끝

1945년 초 미국은 치열한 전투에서 승리했다. 오키나와이오지마 그리고 그 섬들을 점령하여 일본 본토를 폭격하거나 침략할 수 있는 위치에 놓았습니다. 그때까지 전쟁의 해군 부분에서 승리한 그들은 또한 그들의 배로 일본 도시를 폭격했습니다. 일본은 파견 등 필사적인 전술을 시도 카미카제 (침몰한 두 차례의 태풍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습니다. 몽고 인의 13세기의 함대) 조종사들은 자살 임무를 수행하여 폭발물로 가득 찬 비행기를 미국 선박에 충돌시켰지만 그마저도 큰 차이는 없었습니다.

침략은 결코 일어나지 않았다. 미국인들은 실제 전투에 사용될 최초의(그리고 현재까지) 원자폭탄을 투하했습니다. 히로시마 1945년 8월 6일 나가사키 1945년 8월 9일; 같은 날 소련이 만주를 침공했다. 일본은 1945년 8월 15일 연합군에게 무조건 항복함으로써 제2차 세계 대전을 종식시켰다.

여파

항복 후 일본은 미군에 의해 점령되어 모든 식민지를 포기하고 군대를 폐지했습니다. 황제가 왕위에 머무르는 동안 많은 정치 및 군사 지도자들이 기소되었습니다. 극동국제군사재판, 그리고 많은 사람들이 사형을 선고받았다. 미국은 또한 일본에 새로운 평화주의 헌법을 부과하여 군대 창설을 금지하고 민주주의 입헌 군주국으로 전환했습니다. 그러나 언제 냉전 시작되면서 미국 점령군은 경찰 예비군을 설립했습니다. 경찰 예비군은 준군사 조직으로 나중에 일본 자위대가 사실상의 군대로 발전할 것입니다.

대만과 만주는 중국에 반환되었지만 일본의 항복에 따라 중국 내전이 재개되어 결국 본토의 공산주의자들이 승리하고 국민당은 대만으로 후퇴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 한국은 독립을 되찾았지만 공산주의로 분열될 것이다. 북한 그리고 자본가 대한민국, 로 이어지는 한국 전쟁. 미군은 계속해서 일본의 여러 지역에 여러 기지를 유지하고 있지만, 미국인들은 1952년에 결국 일본 본토를 떠날 것입니다. 오키나와는 1972년에야 일본에 반환되었지만 미국은 계속해서 강력한 군사 주둔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서구의 식민 세력도 식민지를 되찾았지만 전쟁은 많은 민족주의 운동에 활력을 불어넣었고, 이는 앞으로 몇 년 동안 성숙하여 결국 식민지의 독립으로 이어질 것이었습니다. 첫 번째는 필리핀 제도, 여기서 미국의 통치는 1946년에 끝났습니다. 가장 큰 것은 끝이었다. 브리티시 라지 1947년, 근대 국가가 된 인도, 파키스탄 그리고 나중에 방글라데시. 그만큼 인도차이나 전쟁 아시아에 남아있는 국가적, 이념적 갈등의 잔혹한 사례였다. 홍콩마카오 결국 1990년대에 중국에 반환될 것이지만 중국과 구식민지 열강 사이의 협정의 일부는 어떤 면에서 독립 국가처럼 행동하게 하는 "일국양제" 협정을 규정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정글에 고립된 몇몇 일본군은 전쟁이 끝난 것을 모르고 계속 싸웠다. 마지막 2개는 1974년에 항복했고, 하나는 필리핀 섬에서 항복했습니다. 루방 그리고 인도네시아의 다른 모로타이 섬.

사이트

전투, 잔학 행위 또는 기타 전시 활동의 현장이었던 많은 장소를 방문할 수 있습니다. 이 전쟁과 전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관련된 전시물이 있는 많은 박물관도 있습니다.

25°0′0″N 10°0′0″W
태평양 전쟁 지도

호주

  • 1 다윈 군사 박물관. 다윈은 전쟁 중 오스트레일리아와 미군의 중요한 거점이었고 일본의 폭격을 받은 유일한 오스트레일리아 도시였습니다. 박물관에는 다윈 폭격에 관한 전시물이 있습니다. Darwin Military Museum (Q5226003) on Wikidata Darwin Military Museum on Wikipedia
  • 2 호주 전쟁 기념관. 에 위치한 캔버라, 기념관에는 두 세계 대전을 포함한 다양한 전쟁에서 싸운 호주 군인을 기념하는 군사 박물관도 있습니다. Australian War Memorial (Q782783) on Wikidata Australian War Memorial on Wikipedia

중국

보다 중국 혁명 배경입니다.

베이징

  • 3 자오좡후 터널 전쟁터 박물관 (焦庄户地道战遗址纪念馆) (베이징 순의구). 일제 강점기인 1940년대 자오좡후 마을 주민들이 건설한 23km 길이의 지하 터널 네트워크. 터널은 일본군에 대한 포로 및 발사 공격을 피하기 위해 중국 저항군이 사용했습니다. 터널의 830m 구간은 일반에 공개됩니다.
  • 4 마르코 폴로 다리/루구 다리 (卢沟桥) (베이징 펑타이 구). 마르코폴로 다리 사건이 일어난 장소 카서스 벨리 2차 중일 전쟁을 위해 일본에 의해. Marco Polo Bridge (Q1060121) on Wikidata Marco Polo Bridge on Wikipedia
  • 5 항일전쟁의 명장들을 기리는 기념비 (抗战名将纪念馆) (베이징 하이뎬 구). 제2차 중일 전쟁 동안 일본과 싸운 수십 명의 중국 저명한 장군에게 헌정합니다.
  • 6 중국인민항일전쟁기념관 (中国人民抗日战争纪念馆) (베이징 펑타이 구). 중일 전쟁에 관한 중국 최대의 박물관. 박물관은 1937년 7월 중국군과 일본군이 벌인 마르코 폴로 다리 사건이 발생한 루거우 다리(또는 마르코 폴로 다리) 옆에 있는 명 시대 요새인 완핑 요새 내부에 있습니다. 두 나라 사이에 전면전의 발발. 요새는 전투 중에 공격을 받았으며 오늘날에도 포탄 구멍이 보입니다. Museum of the War of Chinese People's Resistance Against Japanese Aggression (Q700376) on Wikidata Museum of the War of Chinese People's Resistance Against Japanese Aggression on Wikipedia
  • 7 핑베이 중일 전쟁 순교자 기념 공원 (平北抗日烈士纪念园) (베이징 옌칭 구). 핑베이 지역(북경 북부와 허베이 북부를 포함하는 광대한 지역)에서 일본군과 싸우다 전사한 많은 중국군 병사들에게 바칩니다. 공원 안에는 200여 점의 사진과 공예품을 전시하고 있는 핑베이 중일 전쟁 박물관(平北抗日战争纪念馆)이 있습니다.

충칭

제2차 세계 대전 중 중국의 "임시 수도" 난징 일본군에게 넘어갔다. 일본의 수많은 시도에도 불구하고 내륙 지역의 중국인 저항은 일본의 예상보다 훨씬 더 강력했고, 중경은 심한 폭격을 받았지만 전쟁 기간 동안 일본의 점령을 피할 수 있었습니다.

  • 8 장개석의 황산 저택 (黄山蒋介石官邸, 蒋介石旧军事总部 장개석 옛군사령부) (충칭). 충칭이 제2차 세계 대전 중 중국의 수도였을 때 장제스(장개석)는 충칭 위의 산에 군사 본부를 세웠다. 그 결과 일본 폭격기는 그것을 발견하지 못했고 지금은 박물관으로 전시되어 전쟁 당시의 모습을 그대로 보존하고 있습니다. 아름다운 단지에 많은 건물이 있으며 "모든 관리는 인민을 섬겨야 한다"(무료 번역) 책상 위의 그의 작업실, 그의 침실, 그의 회의실을 방문하고 그가있는 의자에 앉을 수 있습니다. 미국인 고문관과 협상을 했으며, 미국인 교육을 받은 아내가 대개 왼쪽에 있었습니다. 이 저택은 일반적으로 장개석의 다른 관저와 구별하기 위해 장개석의 황산(황산) 저택으로 불립니다(그는 충칭에만 4개 이상의 관저가 있었습니다). 건물에 있는 다른 건물과 함께 거주지는 충칭 중일 전쟁터 박물관(重庆抗战遗址博物馆)의 일부를 형성합니다.
  • 9 충칭 플라잉 타이거 박물관 (重庆飞虎队展览馆, 重庆友好飞虎队展览馆, 重庆飞虎队陈列馆) (충칭). 1941년부터 1942년까지 중국 공군의 일원으로 일본군과 싸운 자원 봉사 미국 전투기 조종사 그룹인 플라잉 타이거즈에 대한 민간 운영 박물관입니다.
  • 10 구 팔로군 충칭 사무소 터 (八路军驻重庆办事处旧址) (충칭). 팔로군은 1937년 공산당과 국민당이 서로 교전을 중단하고 일본에 대항하는 제2통일전선을 결성하기로 합의한 후 적군에서 결성된 집단군이다. 명목상 장개석이 이끄는 국군의 일부였지만 중국 공산당이 지휘했다. 군대는 중국 전역에 여러 사무소를 두어 민족주의 당국자들과의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하고 여기에는 충칭을 포함했습니다.
  • 11 충칭 주재 미국 대사관 건물 (重庆美國大使馆旧址) (충칭). 1942년부터 1946년까지 이 자리에서 미국 대사관이 운영되었습니다. 2019년에 옛 대사관 자리를 박물관으로 다시 개방했습니다. 미국과 중국의 전시 동맹에 대한 전시회가 있습니다.
  • 12 젠촨 박물관 클러스터 (建川博物馆聚落) (충칭). 이것은 산업가 Fan Jianchuan이 설립한 박물관 그룹의 충칭 지점입니다. 청두. 그것은 일련의 세계 대전 폭탄 대피소 내부에 지어진 8개의 개별 박물관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제1병기공장 박물관, 중일전쟁유물박물관, 무기개발역사박물관 등 일부 박물관은 주로 전쟁에 관한 것입니다. Jianchuan_Museum on Wikipedia
  • 13 조셉 스틸웰 레지던스 (史迪威故居, 史迪威将军旧居, 重庆史迪威博物馆 스틸웰 박물관) (충칭). 레드 록 빌리지에서 멀지 않은 곳에 항일 전쟁 중 중국에서 미군 작전을 지휘한 조셉 W.("식초 조") 스틸웰 장군의 옛 거주지이자 사무실이 있습니다. Stilwell은 리더십 능력뿐만 아니라 중국과 중국 문화에 대한 이해도(붓으로 중국어로 글을 쓸 수 있음)에서 인상적인 사람입니다. 그의 이전 거주지는 장강이 내려다보이는 멋진 전망이 있는 1930년대 모더니스트 주택이었습니다. 주요 수준은 Stilwell의 재임 기간 동안 설정되었습니다. 아래층은 2차 세계 대전 중 중국 전선에 대한 사진과 이중 언어 설명으로 채워져 있습니다. Stilwell Museum (Q9593846) on Wikidata Stilwell Museum on Wikipedia
  • 14 리지바 공원 (李子坝公园, 李子坝抗战遗址公园 Liziba 중일 전쟁 유적 공원) (충칭). Jialing 강 유역에 새로 개발된 공원으로 충칭이 중국의 전시 수도였을 때 원래의 건물과 이전된 역사적 건물이 많이 있습니다. 여기에는 오래된 은행 건물, 관공서 및 지역 군벌의 거주지가 포함됩니다. 일부 군용 필박스도 여기에 보존되어 있습니다.
  • 15 송칭링의 옛 거주지 (쑹칭링의 옛 저택 宋庆龄故居, 宋庆龄旧居) (충칭). 이것은 일본이 중국의 대부분을 점령하고 충칭이 임시 수도였던 제2차 세계 대전 기간부터 Song Qingling(Song Qing-ling)의 거주지였습니다. 그것은 또한 Song Qingling이 중국의 공산주의 통제 지역에서 전쟁 노력을 위한 자금 조달 및 물품 조달을 돕기 위해 설립한 조직인 중국 방위 동맹의 본부 역할을 했습니다.

난징

  • 16 난징 대학살 기념관 (侵华日军南京大屠杀遇难同胞纪念馆) (난징). 1937년 후반에 수많은 민간인 학살을 기념합니다. 난징 침략한 일본군에 의해 Nanjing Massacre Memorial Hall (Q32391) on Wikidata Memorial Hall of the Victims in Nanjing Massacre by Japanese Invaders on Wikipedia
  • 17 항일 전쟁에서 사망한 항공 순교자를 기리는 난징 기념관 (南京抗日航空烈士纪念馆, 난징 항일항군기념관) (난징). 제2차 세계 대전 중 일본군과 싸운 공중전에서 전사하고 전사한 모든 이들에게 바칩니다. 기념관은 중국 870명, 미국 2197명, 소련 237명, 한국 2명 등 총 3500여명의 항공 순교자들이 안장된 묘지와 인접해 있다.
  • 18 난징 비정부 항일 전쟁 박물관 (南京民间抗日战争博物馆) (난징). 제2차 중일 전쟁을 기념하는 민간 운영 박물관입니다.
  • 19 일본 신사의 옛 터 (日本神社旧址) (난징). 1939년 일본 제국군이 도시를 점령하면서 건설했습니다. 공식적으로 난징 신사(南京神社)로 알려진 이 신사는 일본이 중국 땅에 지은 가장 큰 신사 중 하나였습니다. 그것은 또한 전쟁 후 철거되지 않은 몇 안되는 것 중 하나였습니다. 현재 이곳은 은퇴한 공산당 간부들의 활동센터로 사용되고 있어 건물 안으로는 들어가지 못할 수도 있지만 밖에서 보는 것은 괜찮다.
  • 20 존 라베의 옛 거주지 (拉贝旧居, 拉贝故居, 拉贝与国际安全区纪念馆 John Rabe 및 국제 안전지대 기념관) (난징). 존 라베(John Rabe, 1882-1950)는 독일의 사업가이자 나치 당원으로 일제 강점기 민간인을 보호하기 위한 노력으로 중국에서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이 집은 1932년부터 1938년까지 그의 거주지였습니다. 지금은 Rabe의 삶과 그가 설립하는 데 도움을 주었고 수천 명의 생명을 구한 것으로 인정되는 Nanjing International Safety Zone에 대한 이야기를 전하는 박물관이 되었습니다. John Rabe House (Q1699038) on Wikidata John_Rabe_House on Wikipedia
  • 21 리지 골목 컴포트 스테이션 사이트 (利济巷慰安所旧址) (난징). '위안소'라는 용어는 2차 세계대전 당시 일본군이 사용했던 완곡어법으로, 이른바 '위안부'를 포로로 잡아 일본군에게 성매매를 강요하는 매춘업소를 일컫는 말이다. 이 특별한 위안소는 아시아에서 가장 큰 위안소 중 하나였습니다. 지금은 난징 대학살 기념관이 운영하는 박물관입니다. 입장은 예약제로만 가능합니다. 방문객은 방문 최소 하루 전에 예약을 해야 하며, 월 2회 이상, 1년에 10회 이상 방문할 수 없습니다. 전시 내용은 성인물이므로 어린이는 건물 내부에 입장할 수 없습니다.

상하이

  • 22 중국 "위안부" 역사 박물관 (中国“慰安妇”历史博物馆) (프랑스 조계지, 상하이).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일본군에 의해 위안부로 끌려간 여성들에 대한 박물관입니다.
  • 23 Jinshanwei 저항 전쟁 유산 공원 (金山卫抗战遗址纪念园) (상하이 진산 구). 1937년 11월 5일 해안 도시인 Jinshanwei에 일본군이 상륙한 것을 기념합니다. 일본군은 공식적으로 이 지역에 주둔했던 중국군 사단이 다른 곳으로 재배치되었기 때문에 거의 저항에 직면하지 않았습니다. 일본군이 진산웨이에 상륙한 후 상하이에 있던 중공군이 남북으로 포위되어 사흘 뒤인 11월 8일 중국 중부 사령부는 운명적인 결정을 내려 전군에게 도시를 포기하고 후퇴할 것을 명령했다. 서쪽. 공원에는 많은 기념물과 Jinshanwei 상륙에 관한 박물관이 있습니다. 박물관은 태평천국의 난 동안 파괴된 명나라 요새를 재건한 진산웨이 요새 내부에 있습니다.
  • 24 상하이 유대인 난민 박물관 (上海犹太难民纪念馆) (상하이 훙커우 구). 박물관은 Ohel Moishe 회당이 있던 자리에 있습니다. 회당은 1928년 러시아 유대인에 의해 지어졌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중 상하이에 있는 유대인 난민들의 주요 예배 장소 중 하나였습니다. Wikidata의 상하이 유대인 난민 박물관(Q11078482) Wikipedia의 상하이 유대인 난민 박물관
  • 25 항일전쟁 상해송후기념관 (上海淞沪抗战纪念馆) (상하이 바오산 구). 제2차 중일 전쟁에서 가장 크고 유혈이 낭자한 전투 중 하나인 상하이 전투를 기념합니다. Wikipedia의 Battle_of_Shanghai
  • 26 시항창고전투기념관 (上海四行仓库抗战纪念馆) (상하이 자베이 구). Sihang 창고는 Suzhou Creek의 북쪽 은행에 있는 역사적인 창고입니다. 1931년에 4개의 은행이 함께 지어서 창고 이름이 'Four Banks Warehouse'입니다. 1937년, 창고는 상하이 전투 후반부에 화약고가 되었습니다. 당시 인민혁명군 88사단 사령부로 사용되고 있었다. 사단은 도시의 배후지로 퇴각할 준비를 하고 있었지만 퇴각 시간을 벌고 일본에 저항하려는 중국 인민의 결의를 국제 사회에 보여주기 위해 1개 대대를 창고에 남겨두었습니다. 대대는 약 6일 동안 성공적으로 창고를 방어한 후 국제 조계지로 후퇴했으며, 그곳에서 일본군의 압력을 받고 행동하는 영국군에 의해 즉시 무장 해제되고 체포되었습니다. 창고의 일부는 현재 Sihang 창고 방어 및 상하이 전투에 관한 박물관입니다. Wikidata의 시항 창고 방어(Q1973870) Wikipedia의 시항 창고 방어

심양

  • 27 9.18 기념 박물관 (“九•一八”历史博物馆, 9.18역사박물관) (심양). 일반적으로 중국어로 '9.18 사건'이라고 불리는 묵덴 사건에 헌정합니다. 1931년 9월 18일 22시 30분에 선양 근처의 일본 철도 옆에서 폭탄이 폭발했습니다. 실제로 일본은 스스로 폭탄을 설치했지만 중국인들이 비난을 받아 일본이 중국 동북부 전체를 침략하고 점령할 구실을 마련했다. 선양은 그 침공의 진원지였으므로 '9.18 사건'의 박물관으로 알려진 대로 폭발이 일어난 지점 옆 선양에 있는 것이 가장 적절합니다. 박물관은 예상대로 중국의 관점에서 사건을 묘사합니다. 전쟁의 잔혹함을 단호하게 보여주기 때문에 마음이 약한 사람을 위한 것이 아닙니다. 주요 설명만 영어로 제공되지만 사건의 흐름을 따라가기에 충분합니다. 어쨌든 사진과 전시는 스스로를 말합니다. 9.18 Wikidata의 역사 박물관(Q10878634)
  • 28 일본 전범재판을 위한 옛 심양군사재판소 (中国审判日本战犯法庭旧址陈列馆) (심양). 36명의 일본 전범들이 1956년 6월 9일부터 7월 20일 사이에 이 장소에서 공개적으로 재판을 받고 기소되었습니다. 이 장소는 현재 박물관입니다.
  • 29 선양 제2차 세계 대전 연합군 포로 수용소 박물관 (二战盟军战俘集中营旧址陈列馆) (심양). 1942년부터 1945년까지 6개국에서 온 약 1500명의 군인들이 선양의 이 포로 수용소에 일본군에 의해 억류되었습니다. 사이트는 지금 박물관입니다. 정보는 중국어와 영어로 제공됩니다.

우한

  • 30 저우언라이의 옛 저택 (周恩来故居) (우한 우창 구). 1938년 중국 공산당의 정치가 저우언라이(Zhou Enlai)는 일본과의 전쟁을 조정하는 일을 도우면서 아내와 함께 4개월 동안 이곳에서 살았습니다. 거주지는 완전히 복원되어 일반에 공개됩니다.
  • 31 구 팔로군 우한 사무소 터 (八路军武汉办事处旧址纪念馆, 중국 8로군 우한사무소 기념박물관) (장안구, 우한). 팔로군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국민당이 이끄는 중국 국민군에 명목상 예속된 공산주의 군대였다. 우한에 있던 육군의 전 사무실은 현재 전쟁과 관련된 전시물이 있는 박물관입니다.
  • 32 구 신4군 한커우 사령부 터 (汉口新四军军部旧址纪念馆) (장안구, 우한). 신 제4군은 제2차 세계 대전 중에 싸운 2개의 주요 공산군 통제 부대 중 두 번째 부대였습니다. 신4군 전 사령부는 구8로군 우한사무소 터에서 모퉁이만 돌면 있어서 두 곳을 함께 방문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 33 시먼봉 기념공원 (石门峰纪念公园) (우한 홍산구). 공원은 여러 구역으로 나뉘며 그 중 하나는 일본과의 전쟁 영웅을 기념하는 무한 저항 전쟁 기념 공원(武汉抗战纪念园)이며, 그 중 우한을 수호한 공군 장병 묘지 옆에 있습니다. (保卫大武汉中国空军英烈墓园). 공원 정문 바로 바깥에 있는 스먼 피크 로드(石门峰路)에는 후베이 전쟁에 대한 전시물이 있는 후베이성 ​​군인 및 항일 시민 전쟁 박물관(湖北军民抗战博物馆)이 있습니다.
  • 34 우한 미술관 (武汉美术馆), Jiang'an District Baohua Street 2 (江岸区保华街2号) (장안구, 우한). 박물관은 이전 Jincheng Bank 내부에 보관되어 있습니다. 건물은 일본이 도시를 점령하는 동안 군사 본부로 사용되었습니다.
  • 35 야오지산 풍경구 (姚家山风景区, 야오지아산 풍경구) (우한 황피구). 경치 좋은 산골 마을에 있는 관광 리조트. 이 마을은 제2차 세계대전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신4군 5사단의 기지 부지였습니다. 옛 군청이 문화재로 보존되어 있고 근처에 박물관이 있습니다.
  • 36 중산공원 (中山公园) (장한구, 우한). 쑨원 동상 왼쪽에는 후베이에 주둔한 일본군이 1945년 공식적으로 중국 정부에 항복한 건물이 있습니다. 이 건물은 현재 이 사건을 기념하는 박물관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 37 중산 군함 박물관 (武汉市中山舰博物馆) (장샤구, 우한). 우한 남서부 교외의 양쯔강 오른쪽 제방 근처에 있는 이 박물관은 1938년 10월 바다에서 수백 마일 떨어진 이곳에서 일어난 해전을 기념합니다. 일본 공군에 의해 침몰 - 진주가 불과 3년 전 미국 함대에 대한 항구 공격 - 중국 군함 중산 1997년 양쯔강 바닥에서 올려져 복원되어 현재 이 박물관의 메인 홀에 전시되어 있습니다. 인근에는 배의 역사와 강 바닥에서 들어 올려지는 과정과 복원 과정에 대한 전시물이 있습니다. 박물관에서 작은 호수 건너 언덕 꼭대기에는 고향에서 멀리 떨어진 양쯔강에서 물 무덤을 발견한 선장을 포함한 25명의 선원을 기리는 기념비가 있습니다. 푸젠성 북부 해안. 호수는 1938년 우한 전투의 다양한 측면과 1945년 일본 항복 이후 도시의 궁극적인 해방을 기념하는 조각품으로 둘러싸여 있습니다. PLA의 오래된 무기 샘플과 같은 군사 및 애국적 성격의 다양한 전시물 , 여기에서도 볼 수 있습니다. 위키데이터의 중산 군함 박물관(Q10875319) Wikipedia의 SS 중산

시안

  • 38 팔로군 시안 사무소 박물관 (八路军西安办事处纪念馆) (시안). From 1937 to 1946, this site served as the Communist Eighth Route Army's official liason office for coordinating communications with the Nationalist authorities in Xi'an.
  • 39 Sanqin Museum of the War of Resistance Against Japanese Aggression (三秦抗战纪念馆) (시안). A museum about the Second World War in Shaanxi Province (Sanqin is an old name for Shaanxi).
Xi'an Incident sites

Chinese politics in the 1930s were complex. The Nationalists under Chiang Kai Shek were nominally in charge, but in several areas local warlords held the real power, some ethnic minority areas were 사실상 independent, and the Communists held other regions (see 긴 행진). The strength of a political group was measured not mainly by how many votes it could get, but rather by how many divisions it could put in the field.

Yang Hucheng was the warlord of 산시, the province whose capital is Xi'an. Chang Hsüeh-liang (Zhang Xueliang) was the "Young Marshal" whose family had ruled 만주. The Japanese assassinated his father (the "Old Marshal") in 1928, and took over the region in 1931; he retreated into central China, bringing an army. Both were nominally subordinate to Chiang, and he ordered them to attack the Communists. Instead they arrested him and held him until he agreed to co-operate with the Communists against the Japanese.

  • 40 Huaqing Pool (华清池) (시안). A hot spring villa in Xi'an where Chiang was held. Wikidata의 Huaqing Chi(Q4133842) Wikipedia의 Huaqing Pool
  • 41 General Yang Hucheng's Zhiyuan Villa (杨虎城将军止园别墅) (시안). One of two heritage properties administered by the Xi'an Incident Museum (西安事变纪念馆). the other being General Zhang Xueliang's Official Residence (listed below). The property has been restored to appears as it did in 1930s and has exhibitions about General Yang Hucheng and his role in the Xi'an Incident.
  • 42 General Zhang Xueliang's Official Residence (张学良将军公馆, General Chang Hsüeh-liang's Official Residence) (시안). The Xi'an Incident Museum's main exhibition halls are at this site.

다른 도시

  • 43 Burial site of laborers killed in Basuo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of Hainan (日军侵琼八所死难劳工遗址) (Dongfang, 하이난). During their occupation of Hainan Island, the Japanese army used forced labor to complete several infrastructure projects, including the Daguang Dam, the Shilu Iron Ore Mine and the railway line connecting the mine to the ports in Basuo and Sanya. At first the Japanese mainly relied on Chinese labor but later they began importing POWs that they had captured in Southeast Asia, including POWs who originally hailed from Australia, Canada, Britain and other allied countries. Conditions for the laborers were extremely brutal. Only 6000 of the more than 30,000 laborers survived. Many of the dead are buried here at this site. In 2013, the old prison buildings from the Basuo POW Camp Site were controversially moved here from their original location about 500 meters away.
  • 44 창사. The site of four separate battles between the Chinese and Japanese in 1939, 1941, 1942 and 1944. The first of those was the first significant victory scored by the Chinese over the Japanese during World War II. The Japanese were only able to capture Changsha on their fourth attempt in 1944. One of the battlefields has been preserved at the Yingzhushan War of Resistance Site Park (影珠山抗战遗址公园) about 70km northeast of downtown Changsha. One can also visit war memorials, graves and former military buildings at the Yuelu Mountain National Scenic Area (岳麓山国家重点风景名胜区) in the western part of the city. 위키데이터의 창사(Q174091) 위키피디아의 창사
  • 45 Eighth Route Army Luoyang Office Museum (八路军驻洛办事处纪念馆) (낙양, 허난). The museum is inside a traditional Chinese mansion built in 1831 that was originally the home of a wealthy merchant. Between 1938 and 1942, the mansion served as the Luoyang office of the Eighth Route Army, a Communist controlled group army that was created from the Red Army when the Communists and the Nationalists formed the Second United Front against Japan.
  • 46 Kunming Flying Tigers Museum (昆明飞虎队纪念馆) (쿤밍). This commemorates a group of volunteer American fighter pilots who fought in China. Kunming was their main base. Some of their other bases included 화이화, 계림, Liuzhou충칭. These cities also have their own museums dedicated to the Flying Tigers. Wikipedia의 플라잉 타이거즈
  • 47 Liuzhou Military Museum (柳州市军事博物园) (Liuzhou, 광시). Reportedly the largest military museum in southwestern China. The museum is noteworthy for being on the grounds of the old Liuzhou Airport. During the Second World War, the airport was an important base for the Chinese airforce as well as allied group such as the Flying Tigers the Soviet Volunteer Group. Many of the wartime buildings still survive and there are exhibitions about the war.
  • 48 National Cemetery to the Fallen of World War II (国殇墓园) (텅총, 윈난). War cemetery with the graves of thousands of Chinese Nationalist soldiers, as well as 19 American soldiers, who died in a 1944 battle in which the Chinese were victorious and managed to reclaim Tengchong from the occupying Japanese.
  • 49 Puppet Imperial Palace of Manchukuo (伪满皇宫; Wěimǎnhuánggōng) (창춘). Home of Pu Yi, the last emperor of China and puppet emperor of Manchukuo, and centre of the Manchukuo administration at the time. The grounds are nicely restored, since the site was repurposed as a factory during the Cultural Revolution. Scenes from the acclaimed 1987 film 마지막 황제 were filmed here. Wikidata의 만주국 황궁(Q83332) Wikipedia의 만주국 황궁 박물관
  • 50 Unit 731 Museum (华日军第七三一部队罪证陈列馆) (하얼빈). A museum in Harbin located in a former bio-chemical weapons testing facility built by the Japanese and used to perform experiments on Chinese citizens and POWs. After the war, the Americans agreed to cover up their actions and grant immunity from prosecution to the scientists involved in exchange for being granted exclusive access to the data, as they feared that the data would end up in the hands of the Soviet Union, and many of those scientists ended up having successful careers in academia. Wikidata의 일본 육군 731 부대 (Q60577004)의 전쟁 범죄 증거 박물관

몽골리아

  • 51 Khalkhin Gol. Site of a battle in 1939 in which the Soviets demolished a large Japanese force. This turned Japanese thinking away from expansion into 몽골리아시베리아; instead they adopted a "strike south" strategy which led directly to Pearl Harbor and their attacks in Southeast Asia. Wikidata의 Khalkhin Gol 전투(Q188925) Wikipedia의 Khalkhin Gol 전투

Southeast Asia

  • 52 버마 로드. This road ran from Western China into Burma (now 미얀마) and connected to 아삼 in Eastern India as well. It was built by the Chinese in the late 1930s, upgraded by the Americans later, and used throughout the war. Wikidata의 Burma Road (Q478684) Wikipedia의 버마 도로
  • 53 Sandakan Memorial Park. This memorial in the Malaysian city of 산다칸 was built at the site of a former Japanese POW prison camp with funding from the Australian government to commemorate the Allied POWs who lost their lives during the Sandakan Death Marches. Only 6 people out of several thousand survived the march, and only because those 6 managed to escape. Incidentally, all 6 survivors were Australian. Wikidata의 산다칸 기념 공원(Q2799368) Wikipedia의 산다칸 기념공원

싱가포르

  • 54 The Battlebox, 2 Cox Terrace, Singapore 179622. A former British military bunker and command centre which served as the headquarters for the British forces in Malaya during the Malayan Campaign. It was here that Lieutenant-General Arthur E. Percival met with his senior officers and made the decision to surrender to the Japanese. It has been converted to a museum dedicated to the Malayan Campaign, and a re-enactment of how it functioned during the war.
  • 55 Changi Museum. A former POW camp-turned-museum has information about the Japanese occupation of 싱가포르 and what life was like in the POW camp. It focuses on the general history and conditions as well as containing personal accounts and artifacts donated by former prisoners. It has a replica of the 창이 예배당 that was built by Australian POWs in captivity; the original was dismantled and moved to 캔버라 after the war, where it now stands in the Royal Military College, Duntroon. You can also see replicas of the Changi murals, Christian murals that were painted by British POW Stanley Warren while in capitvity; the original murals are located in a military airbase and off limits to the general public. 위키데이터의 창이 박물관(Q5072000) 위키피디아의 창이 박물관
  • 56 Civilian War Memorial. Monument commemorating the local civilians who lost their lives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The remains of many unidentified victims are buried under the memorial. Wikidata의 민간인 전쟁 기념관(Q5124736) Wikipedia의 민간인 전쟁 기념관
  • 57 Ford Motor Factory, 351 Upper Bukit Timah Road, Singapore 588192. A former factory of American automobile manufacturer Ford, and the first motor vehicle factory to be opened in Southeast Asia. This is also the site where the British lieutenant-general Arthur E. Percival surrendered unconditionally to Japanese general Tomoyuki Yamashita on 15 February 1942, thus ending the Malayan Campaign. It was also used by the Japanese to produce military vehicles during the occupation. It has now been converted to a museum dedicated to life in Singapore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The boardroom in which the surrender took place has also been reconstructed for viewing.
  • 58 Fort Siloso. One of four British forts on what was then the island of Pulau Blakang Mati, today known as Sentosa. It is the only one of the four to have been restored as a tourist attraction, and contains the remnants of some British artillery guns, as well as interactive displays and a re-enactment of the unconditional surrender of the British forces to the Japanese. Wikidata의 실로소 요새(Q4419293) Wikipedia의 실로소 요새
  • 59 Labrador Nature Reserve. The site of numerous British artillery gun emplacements during World War II. Today, you can see the remains of those gun emplacements, numerous pillboxes, and a network of underground tunnels that were used to store ammunition and move them to the gun emplacements. 비어 있는. Wikidata의 래브라도 자연 보호 구역(Q14874451) Wikipedia의 래브라도 자연 보호 구역
  • 60 Reflections at Bukit Chandu, 31K Pepys Road, Singapore 118458, . An interpretive centre of the Battle of Pasir Panjang, one of the fiercest battles in the Malayan Campaign that pitted the Malay Regiment (today the Royal Malay Regiment, the most decorated regiment in the Malaysian Army) against the Japanese. Wikidata의 Bukit Chandu(Q7307287)에서의 고찰 Wikipedia의 Bukit Chandu에 대한 고찰
  • 61 Syonan Jinja. A Shinto shrine built by the occupying Japanese in Singapore (which they re-named Syonan-to) in 1942, located at MacRitchie Reservoir, and destroyed after the Japanese surrender on 15th August 1945. The ruins of the shrine still exist, but are now in the middle of the jungle with no footpaths leading there, making it very hard to find. 위키피디아의 쇼난진자
  • 62 Syonan Chureito. A memorial built by Australian POWs to honour the Japanese war dead during World War II, with a smaller memorial behind that to commemorate the Allied war dead. Both memorials were torn down following the Japanese surrender, and today, only the road and stairs leading up to the memorial, as well as two pedestals at the bottom of the stairs, survive. A television transmission tower now occupies the former memorial site. Wikipedia의 부킷 바톡 기념관

미국

  • 65 MacArthur Memorial, 198 Bank St; Norfolk, Virginia, 1-757-441-2965, 팩스: 1-757-441-5389. 투-사 오전 10시-오후 5시; 수 오전 11시-오후 5시. Museum dedicated to the life of Douglas MacArthur, the general who led U.S. forces to victory over the Japanese in the Philippines, and was appointed Supreme Commander of the Allied Forces. His grave is located within the museum. The last non-president to have been granted a U.S. state funeral. 비어 있는. 위키데이터의 맥아더 기념관(Q22073406) Wikipedia의 맥아더 기념관
  • 66 Port Chicago Naval Magazine National Memorial, 1 925 228-8860 ext 6520 (전세). Tours available Th-Sa at 12:45PM (allow 1½ hours). Not all dates and times may be available. No public access Su-We. This memorial honors 320 individuals (including 200 young African American men) who were killed in a munitions accident during World War II while loading munitions and bombs onto ships bound for the Pacific Rim. Following the explosion many of the enlisted men refused to work, resulting in the Navy's largest mutiny trial and eventually helping to push the US Armed Forces to desegregate. The memorial is located on an active military base and as a result reservations must be made at least two weeks in advanceall visitors must be US citizens or permanent residents. Reservations can be made by calling or via an online reservation form. All visitors are shuttled to the memorial from John Muir National Historic Site in nearby 마르티네즈. Wikidata의 Port Chicago Naval Magazine National Memorial (Q7230541) Wikipedia의 포트 시카고 해군 잡지 국립 기념관
  • 67 Aleutian World War II National Historic Area (Visitor Center located on the apron of the Dutch Harbor airport), 1 907 581-1276. Year round, but May-October offer the best access. This site is the remains of one of four WWII era forts constructed to defend Dutch Harbor against a potential Japanese attack. The visitor center is free, however, a Land Use Permit must be obtained to visit the historic site on Mount Ballyhoo. 비어 있는.

A number of sites in the US commemorate the internment of Japanese-Americans during the war.

  • 68 Manzanar Internment Camp. The largest internment camp in the United States where approximately 110,000 Japanese-Americans and Japanese nationals living in the United States during the war were forced to live after being ordered to leave their homes. This museum contains information about the camp, the experiences of those who were forced to live here, and life after the war. Wikidata의 만자나르(Q985484) Wikipedia의 만자나르
  • 69 WWII Japanese American Internment Museum. A former internment camp turned into a museum to educate people about the lives of Japanese-Americans at the Rohwer Relocation Center. Wikidata의 일본계 미국인 수용 박물관(Q16849571) Wikipedia의 일본계 미국인 수용 박물관
  • 70 Topaz Museum. The Topaz Relocation Center (internment camp) housed over 11,000 Japanese-Americans. Because people were moved here before it was finished, internees were actually hired to build the wire fences to pen themselves in. Wikidata의 토파즈 전쟁 재배치 센터(Q7824771) Wikipedia의 토파즈 전쟁 재배치 센터

남해

  • 72 웨이크 아일랜드. This US-controlled island was taken by Japan shortly after Pearl Harbor and held by them throughout the war. There are ruins of Japanese fortifications, a monument for the American defenders who put up a stiff fight despite being badly outnumbered and outgunned, and a monument for a group of 98 POWs executed by the Japanese. Today the island is a US military base, off limits for most visitors. Wikidata의 웨이크 아일랜드(Q43296) Wikipedia의 웨이크 아일랜드
  • 73 Henderson Airfield (HIR IATA). The Japanese began constructing an airfield in May 1942 in 호니아라 on Guadalcanal. Knowing that if they completed it, they'd be able to both isolate Australia from its allies and launch potentially devastating attacks, America quickly moved to take control of the airfield. It took six months to secure the airfield, after which the Americans finished construction on it and used it to launch attacks on other islands.
    Henderson Airfield was later expanded to become the international airport of the 솔로몬 제도, so of course it can be visited. Other sites around the airport include Bloody Ridge (where America defended against the Japanese), the Gifu (named after the city by the same name, it was a Japanese post attacked by the US), Mount Austin (used by the Japanese to get a full view of the airfield in their plan to retake it), as well as memorials for both the Americans and Japanese that fought here.
    Wikidata의 호니아라 국제공항(Q859876) Wikipedia의 호니아라 국제공항
  • 74 Betio Island. Within a few days of Pearl Harbor, the Japanese took the Gilbert Islands, then a British colony, now part of the independent nation Kiribati. America's first attack on Japanese forces occurred in Butaritari, in the Gilberts, shortly after that.
    In late 1943, the Allies came to oust Japan from the islands, which by then had been heavily fortified. Betio Island in 타라와 was the site of the Battle of Tarawa, considered to be one of the bloodiest battles of the war. While war relics can be found on multiple islands throughout Kiribati, Betio Island is where the main battle took place and also where the most remains. Visitors can see tanks, bunkers, shipwrecks, guns, and memorials built by the Japanese, Americans, and Australians and New Zealanders.
    Wikidata의 베티오(Q831455) Wikipedia의 베티오
  • 75 코코다 트랙. An important battle line in 파푸아 뉴기니, 사이 호주일본, it is now a trekking destination, especially for Australians. Wikidata의 Kokoda 트랙(Q1424748) Wikipedia의 Kokoda 트랙
  • 76 Command Ridge (나우루). During World War II, Nauru was occupied by the Japanese from August 1942 until their surrender at the tail end of the war in the wake of three years of near-continuous Allied air raids. Today, rusting relics from this era are scattered throughout the island — disused Japanese pillboxes line the shore every couple of kilometres, and old cannons can be seen along roadsides barely hidden by forest or even in plain sight between homes.
    However, for those who want a firsthand look at Nauru's WWII history, Command Ridge (Nauruan: Janor) is the place to go. As the island's highest point, rising to an elevation of 63 m above sea level, it was a natural lookout point for the occupiers. Today you'll find a bevy of old artillery emplacements (including a pair of six-barrel antiaircraft guns still pointed skyward), the ruins of a prison complex used to hold interned Nauruan natives (who were treated brutally by the Japanese) as well as five members of the Australian military captured during the invasion, and — most impressive of all — the former communications center, now open for any visitors to enter. The interior is not well lit, but bring in a lantern or torch and you'll still be able to make out faded Japanese writing on the walls.
    Wikidata의 Command Ridge(Q2667931) Wikipedia의 커맨드 릿지
  • 77 War in the Pacific National Historical Park. 의 위에 , but part of the US national park system since Guam is an American territory. The park honors all those who fought in the Pacific, not just on Guam and not just Americans. Guam was taken by the Japanese early in the war and retaken by the US in 1944.
  • 78 Gizo. Located on Ghizo Island, Gizo evokes the memories of vivid fighting in WWII. It is nowadays a tourist centre and some wrecks can be found underwater, including the Toa Maru.

필리핀 제도

MacArthur's landing site
  • 79 Corregidor Island. Established as an American fort to defend Manila from naval attacks, it fell to the Japanese in 1942, and was liberated in 1945. This is where General MacArthur left and uttered his most famous line "I shall return", a promise he fulfilled in 1944. Wikidata의 Corregidor(Q928075) Wikipedia의 Corregidor
  • 80 카파스. A largely rural municipality housing Camp O'Donnell, an American military camp turned into a POW camp where the infamous Bataan Death March in 1942 ended. Two memorial shrines dedicated to the American and Filipino prisoners of war who suffered and died under the hands of the Japanese are erected here, and two abandoned railroad stations where the prisoners were unloaded have been turned into museums and memorials. The exact number of prisoners on the march is unknown; estimates range from 6,000 to 18,000. Wikidata의 Capas(Q56427) Wikipedia의 Capas
  • 81 코론. This town in 팔라완 Province has excellent wreck diving; the US Navy sank about a dozen Japanese ships in shallow water nearby in 1944. Wikidata의 Coron(Q111414) Wikipedia의 Coron, 팔라완
  • 82 MacArthur Landing Memorial National Park. This is where General McArthur landed on his return to the country in 1944; it is in Palo municipality on Leyte Island, 근처에 타클로반. Wikidata의 MacArthur Landing Memorial National Park (Q18157528) Wikipedia의 MacArthur Landing Memorial 국립 공원
  • 83 캠프 팡가티안. A former American military camp turned into a POW camp by the Japanese, it is the site of the raid at Cabanatuan, a major engagement of the liberation of the Philippines in 1945. The camp, now a shrine, is northeast of 카바나투안 city (then a rural area) in 누에바 에시야 지방. Wikidata의 Cabanatuan에서의 습격(Q705083) Wikipedia의 Cabanatuan에서 습격

일본

  • 84 오키나와 평화 공원과 히메유리 기념비. The site of one of the most brutal and bloody battles of the war, 오키나와 island has many war remnants and memorials. Outside of Japan, Okinawa is often viewed as the first battle on Japanese soil. However, like the other Pacific Islands, Okinawa was also colonized territory so the local population was not fully trusted by the Japanese and often treated as expendable. With the Americans being obvious enemies and the Japanese not being complete allies, the question on many Okinawans' minds was not "How am I going to survive?" but "How do I want to die?". The museums here show the war from a uniquely Okinawan perspective, including life for citizens, students and military. It also depicts well how they were mistreated by both the Japanese and the Americans during and after the war. The Peace Park and the Himeyuri Monument in Itoman are the best places to learn about the battle, but remnants and reminders of the war can be found throughout the island.
  • 85 이오지마. Another group of islands close to Japan, scene of some extremely fierce fighting. An image of victorious US Marines raising the Stars and Stripes there is quite famous. US Military Tours has exclusive rights to the island and only US citizens who are members of the Iwo Jima Association of America, WWII veterans, or WWII prisoners of war are eligible to join the tours. Wikidata의 이오지마(Q201633) Wikipedia의 이오지마
  • 86 Chiran Peace Museum for Kamikaze Pilots. As the war approached the home islands, the desperate Japanese began sending out young men to fly aircraft packed with explosives into American ships. The museum is located in Chiran over the former spot where the tokko pilots (known abroad as kamikaze pilots) were trained and flew from. The museum contains information about the pilots, artifacts and letters from them, and recovered kamikaze planes. Wikidata의 Kamikaze 조종사를 위한 Chiran 평화 박물관(Q4458048) Wikipedia의 Kamikaze 조종사를 위한 Chiran 평화 박물관
  • 87 Hiroshima Peace Park and Memorial Museum. 히로시마 was the first place in the world to be attacked with an atomic bomb. The museum shows how devastating the bomb was to the city and the effects it had on the people from the immediate aftermath to the present day. Wikidata의 히로시마 평화 기념 공원 (Q1207208) Wikipedia의 히로시마 평화 기념 공원
  • 89 Yasukuni Shrine (靖國神社 Yasukuni-jinja), 3-1-1 Kudan-kita, 81 3-3261-8326. A controversial shrine to Japan's war dead, housing the souls of some 2.5 million people killed in Japan's wars — including numerous Taiwanese and Koreans, and controversially, convicted war criminals executed by the Allies. Often visited by Japanese politicians, drawing sharp criticisms from neighbours China and South Korea in the process. If you choose to visit, consider keeping it a secret from your Chinese or Korean friends. Wikidata의 야스쿠니 신사 (Q242803) Wikipedia의 야스쿠니 신사

기록

There are also many other sites that commemorate parts of the war.

Marine Corps War Memorial
  • 그만큼 90 US Marine Corps Memorial ...에서 알링턴, Virginia, depicts the famous scene of the raising of the (American) flag on 이오지마, whose history is told by the movie Flags of our Fathers directed by Clint Eastwood. One of the soldiers involved, Ira Hayes, is commemorated in a fine song by Johnny Cash.
  • 91 US National Museum of the Pacific War. Fredericksburg (Texas), home town of Admiral Chester Nimitz who commanded US forces in part of the Pacific, this is a large museum complex with many exhibits. Wikidata의 태평양 전쟁 국립 박물관(Q6974516) Wikipedia의 태평양 전쟁 국립 박물관
  • 92 Bank Kerapu. There is a small war memorial and museum in the former Bank Kerapu building in Kota Bharu, 말레이시아, which served as a secret police station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it might not merit a special trip but is worth visiting if you are in Kota Bharu. 위키데이터의 은행 케라푸(Q12474498)
  • 있다 Commonwealth War CemeteriesTaukkyan, Thanbyuzayat, Kranji, Taiping, Labuan, Sai Wan, Kanchanaburi, Imphal, 첸나이요코하마 as well as an American War CemeteryManila, in which many of the Allied war dead are buried.

존경

While some sources claim Chinese communist forces contributed little to the Pacific War, Chinese law enacted in 2019 criminalizes the denial of officially-endorsed heroes and martyrs, in addition with defamation lawsuits.

또한보십시오

여행 주제태평양 전쟁 이다 쓸 수 있는 조. 그것은 주제의 모든 주요 영역을 다룹니다. 모험심이 강한 사람이 이 글을 사용할 수도 있지만, 자유롭게 페이지를 수정하여 개선해 주시기 바랍니다.